기본적인 깃 명령어를 안다는 전제 하에 진행합니다.
기존에 깃허브 아이디가 있고 혼자 개인 리파지토리에서 커밋을 한번이라도 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따라오시는데 문제 없으실꺼같습니다.
1. 깃허브 리파지토리 만들기
기존에 organizations가 있으시다면 그 안에서 만드셔도 되고 없으시다면 개인 리파지토리를 만들어서 초대해도 괜찮습니다.
리포지토리 이름같은 경우에는 소문자와 하이픈을 섞어서 많이 쓴다고 합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1947587/is-there-a-naming-convention-for-git-repositories
Is there a naming convention for git repositories?
For example, I have a RESTful service called Purchase Service. Should I name my repository: purchaserestservice purchase-rest-service purchase_rest_service or something else? What's the conventio...
stackoverflow.com
저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리파지토리라서 Private로 만들었지만 Public으로 하셔도 아무 상관없습니다.
그 밑에 부분은 하나씩 살펴보면 저장소를 생성할 때 함께 만들 파일을 설정해 주는 칸입니다.
- README 파일 추가 (Add a README file)
- .gitignore 파일 추가 (Add. gitignore)
- license 파일 추가 (Choose a license)
아무것도 체크안하고 만들어주셔도 문제 없지만 저는 README 파일 추가 정도는 하는 편입니다.
2. 팀원 초대하기
생성된 리파지토리에 들어가보면 우측 상단에 Settings 이란 메뉴에 들어간다.
들어가면 다시 좌측 메뉴에서 Collaborators and teams 를 눌러준다.
Add people에서 같이 협업할 사람의 이메일이나 username을 입력해주고 초대하면 된다.
초대 받은 사람은 가입할 때 적은 이메일주소로 메일이 오는데 거기서 들어가서 수락하면 된다.
'개발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1 문제 해결을 통한 와인 목록 조회 성능 개선 (0) | 2025.04.07 |
---|---|
AOP와 Redis 캐싱을 활용한 OpenAI API 호출 성능 측정 및 최적화 사례 (0) | 2025.04.03 |
[JPA] Entity 설계 시 ID 값을 Integer 대신 Long 타입으로 지정하는 이유 (1) | 2025.02.07 |
깃허브로 그룹 프로젝트 하는 법 3: 브랜치와 이슈 만들기 (0) | 2024.11.14 |
깃허브로 그룹 프로젝트 하는 법 2 : 프로젝트 환경 세팅 (0) | 2024.11.12 |